[2025년 기준]개장유골 화장비용 비교|지역별 요금 & 관외 기준 정리
개장유골 화장이란?
개장유골 화장이란, 기존에 매장되었던 유골을 일정 기간 이후 다시 꺼내 화장하는 절차입니다.
이 경우에도 일반 화장처럼 공설화장장 예약이 필요하며, 특히 '관내' 또는 '관외' 여부에 따라 화장비용 차이가 큽니다.
관내: 해당 화장장과 행정 협약이 되어 있는 지역 거주자
관외: 협약 외 지역 거주자 또는 타 지자체 거주자
✅ 1. 전국 주요 화장장 개장유골 화장비용 비교표
화장장 명 | 관내 요금 | 관외 요금 | 비고 |
서울시립승화원 | 60,000원 | 400,000원 | 관내: 서울, 고양, 파주 |
서울추모공원 | 60,000원 | 400,000원 | 관내: 서울, 고양, 파주 |
수원시 연화장 | 100,000원 | 500,000원 | 경기도 수원시 |
용인 평온의숲 | 60,000원 | 400,000원 | 경기도 용인시 |
화성 함백산추모공원 | 100,000원 | 400,000원 | 경기 화성시 |
인천가족공원 | 100,000원 | 400,000원 | 인천광역시 |
부산영락공원 | 60,000원 | 240,000원 | 부산광역시 |
광주영락공원 | 23,000원 | 전남 250,000원 기타 340,000원 |
광주광역시 |
대구명복공원 | 100,000원 | 경북 350,000원 기타 500,000원 |
대구광역시 |
대전정수원 | 45,0000원 | 충남·충북·세종 110,000원 기타 170,000원 |
대전광역시 |
💡 참고 사항
● 관내 적용을 받으려면 '사망자 주소지'가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
● 가족의 주소지, 신청인의 주민등록상 주소가 함께 고려되는 경우도 있으니 증빙서류(주민등록등본 등) 준비 필요.
● 개장유골의 경우에는 고인의 본적지나 묘지 위치, 개장 허가서상의 주소도 고려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🔎 TIP: 관외 요금은 5~8배까지 차이날 수 있으니
사망자 주소 기준 또는 묘지 위치 기준의 관내 인정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✅ 2. 왜 지역별로 비용 차이가 큰가요?
● 공공 화장장은 지자체에서 운영하며 해당 시·도민에게 저렴한 요금을 제공합니다.
● 관외 이용자는 인프라 부담을 고려해 별도 요금 체계가 적용됩니다.
● 일부 시설은 전라남도민, 충청권 거주자 등으로 관외 기준을 세분화해 운영하고 있습니다.
✅ 3. 화장 계획 전 '관내 인정 기준' 꼭 확인하세요
개장유골 화장은 시간적 여유를 두고 진행되는 경우가 많지만,
화장장 예약 대기, 관외 요금 부담, 주말·공휴일 휴무 여부 등을 고려해 미리 신청 & 비용 비교가 중요합니다.
● 📞 관할 화장장 또는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(ehaneul.go.kr)에서 예약 가능 여부 및 요금 확인
● 📁 필요시 증빙 서류(관내 증명용 등본, 가족관계증명서 등) 지참
📌 이전글도 참고해보세요
2025년 전국 화장장 현황 정리|도별 공설화장장 안내
📍 2025년 전국 화장장 현황 정리|도별 공설화장장 안내✅ 왜 화장장 정보가 중요한가요?장례 절차에서 화장장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. 특히 고인이 사망한 지역과 상관없이 '가까운 화장장
aalzza.golden-mama.com
'생활 속 법률·제도 > 장례·묘지·유골 처리 절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전국 화장장 현황 정리|도별 공설화장장 안내 (2) | 2025.07.02 |
---|---|
[2025년 최신] 장례 절차 순서 총정리 (2) | 2025.07.01 |
서울시립승화원 유택동산 후기|개장묘 화장 후 자연으로 보내드린 마지막 인사 (0) | 2025.06.20 |
유택동산이란?|공동 산골장 이용 방법과 주의사항 총정리 (0) | 2025.06.12 |
해양장이란?|자연장 중 하나, 바다에 뿌리는 장례 방법 총정리 (4) | 2025.06.12 |